여성주의에 토대를 둔 여성복지를 이해하고 실행하려면 다양성을 이해하는 지식과 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식과 훈련은 젠더문제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다양한 사회구조 속에서 계층, 인종, 연령, 문화 등에 의해 다중으로 소외된 자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들을 위한 정책과 실천을 마련하여 모든 억압을 종식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이들이 평등하고 행복한 사회가 궁극적으로 여성주의와 통합된 여성복지의 목표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 여성주의에 토대를 둔 젠더적 시각으로 여성복지의 정책과 실천현장에서 필요한 포괄적인 지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번 개정판은 그간 변화된 사회의 상황을 고려하여 최신 데이터를 제시하였고 정책과 제도의 변화를 담아내었다.
|